65세이상 버스비 무료 언제부터: 서울시 부산 인천 경기도등 지자체별 버스비 무료 지원 현황

✅ 65세 이상 버스비 무료: 서울, 인천, 부산, 경기도 등 전국 지자체 지원 총정리!
2025년 7월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65세 이상 어르신 버스 무료 정책! 내가 사는 지역의 혜택(인천/부산/경기도 등), 지원 연령, 놓치지 말아야 할 신청 방법과 주의사항을 한 번에 확인하세요! 

65세이상 버스비 무료

만 65세 이상 경로우대자는 1984년부터 전국 지하철(도시철도)을 무료로 이용하고 계십니다. 

여기에 더해, 이제 시내버스까지 무료 또는 환급 혜택이 확대되면서 어르신들의 교통비 부담이 크게 줄고 있습니다. 

이는 월 수만 원에 달하는 교통비를 절약하고, 어르신들의 이동권을 크게 향상하는 중요한 복지 정책입니다. 

다만, 지역별로 정책, 지원 연령, 시행 시기가 모두 다르므로 반드시 거주지 정보를 확인하고 전용 카드를 신청해야 합니다. 😊

 

1. 전국 주요 지자체별 버스 요금 지원 현황 (2025년 기준) 📊

현재 주요 광역 및 기초 지자체의 시내버스 요금 지원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. 지

원 연령이 65세인 곳과 70세 이상인 곳이 다르니 주의 깊게 확인하세요.

도시 적용 연령 (버스) 시행 시기 주요 혜택 및 방식
인천 65세 이상 2025년 7월 1일 시내버스/지하철 전액 무료 (전용 카드 필수).
부산 75세 이상 2025년 7월 전후 75세 이상 시내버스 무료.*65세 이상은 지하철만 무료.
서울 65세 이상 (자치구별 차등) 미시행 (일부 구 환급 시행) 지하철 무료. 시내버스 시 전체 전면 무료 정책은 미정. 일부 구에서 교통비 환급 형태로 지원 중.
경기 (시범사업) 70세 이상 2025년 4분기 이용분부터 시내버스/GTX 이용 요금 연 최대 36만원 환급 (시범지역 한정).
대구/대전 70세 이상 2023년부터 시내버스 무상 이용 (대전은 월 20회 이용 제한 있음).
춘천 65세 이상 2025년 5월 8일부터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무료 이용.
💡 핵심 요약!
버스 요금이 65세부터 전액 무료인 광역 지자체는 인천광역시가 선도하고 있으며, 대구/대전/경북 등은 70세 이상부터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반드시 거주지 지자체의 정책을 확인하세요.

 

2. 지역별 상세 정책: 경기도 및 환급형 지원

1) 경기도 (70세 이상 교통비 환급 시범사업)

  • 대상: 경기도 거주 만 70세 이상 도민 (시범지역: 이천, 동두천, 양평).
  • 혜택: 시내버스, GTX 등 수도권 교통수단 이용 요금을 연 최대 24만 원 환급 (운전면허 미소지 시 36만 원).
  • 참고: 경기도는 65세 이상 지하철 무임 이용 카드인 G-PASS를 발급하며, 버스는 70세 이상부터 환급 형태로 지원합니다.

2) 서울특별시 (구별 환급 확인 필수)

  • 지하철: 65세 이상 전국 공통 무료입니다.
  • 시내버스: 서울시 차원의 전면 무료 정책은 없으며, 종로구 등 일부 자치구에서 65세 이상 주민에게 개별적으로 교통비 환급 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니 거주지 구청에 문의해야 합니다.

 

3. 버스비 무료 혜택 신청 방법 및 주의사항 📝

필수! 혜택을 위한 신청 방법

65세 이상 버스비 무료 또는 환급 혜택은 자동으로 적용되지 않으며, 반드시 지자체에서 지정한 전용 교통 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.

  • 신청 장소: 거주지 관할 동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 방문이 가장 일반적입니다.
  • 준비물: 신분증(주민등록증), 증명사진 (카드 제작에 필요할 수 있음), 환급 방식의 경우 카드 사용 내역 확인을 위한 통장 사본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  • 전용 카드: 인천은 '인천 마폐 카드', 경기도는 'G-PASS 카드' 등 지역별로 지정된 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.
⚠️ 주의하세요! 놓치기 쉬운 핵심 정보
  • 신청하지 않으면 혜택은 없습니다. 미루지 말고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전용 카드를 신청해야 합니다.
  • 지원 연령이 다릅니다. 65세부터 무료인 지역(인천, 춘천)이 있는 반면, 70세(대구/대전/경기 시범) 또는 75세(부산)부터 지원되는 지역이 있으니 거주지 연령 기준을 꼭 확인하세요.
  • 이용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. 대전광역시처럼 월 20회 이용 제한이 있는 지자체도 있으므로, 해당 정책의 세부 규정을 확인해야 합니다.

이 블로그 검색

신고하기

프로필